쌍방울

절대로 아무 것도 아닌 사람

다정도병 2009. 4. 7. 17:19

절대로 아무것도 아닌 사람(Mr. Absolutely Nothing)


로타리클럽에서 수요일 아침마다 뵙던

朴椿浩 교수의 컬럼집 제목이다.

 

全北 南原생으로 순창농림학교를 거쳐

서울대 정치학과, 영국 에딘버러에서 법학박사학위를 하신 그는

UN 국제해양법재판소 9년임기 재판관 두 번째 재임중

얼마전 他界하셨다.


소시적 晝耕夜讀으로 自手成家를 이룬 그는

세계 최고의 국제해양법 전문가로 5개국어에 능통하다.

고려대,건국대와 하바드대등에서 후학지도와 연구활동을 한 그는

6척 거구에 넘치는 위트, 폐부를 찌르는 해학으로

늘 주변을 웃기고 감동시킨다.


UN 사무총장 버금가는 국제기구요인이

입버릇처럼 Mr. Absolutely Nothing을 외친다. 

모자라서 어려운 일은 못하니 쉽게 풀어 하고,

남 탓할 능력이 안 돼 늘 자신을 되돌아보고,

村에서 나서 세계로 나아가다 보니

유머가 제일이더라고 연신 주변을 웃겨댄다.


아무것도 아니어야 비로소 무엇이든 할 수 있고

누구든 만날 수 있다.

神과 대자연, 사회와 그 어떤 사람에게도

목에 힘을 빼고 치장을 벗고 겸허해지면 좋겠다.

무장하지 않은 이에게 총을 겨누는 이는 없다.

곁을 내 주면 누구나 가능성이 열린다.


종종 甲과 乙의 이야기를 듣는다.

힘을 쥔 쪽이 갑,

가끔씩 호기를 부리는 갑에게 을은 정녕 속수무책일까.

을 없는 갑이 있는가.

누가 됐든 필경 을은 존재한다.

 

끝없는 경쟁으로 자생력을 가진 을은

오히려 강건하기 이를 데 없다.

산전수전  know-how가 온몸에 흐른다.

모든 게 네 탓인 자와

두루 내 탓인 자중 누가 오래 남을까. 

진정한 갑은 누구일까. 

낮춰야 다가갈 수 있고

수그려야 부딪치지 않으며 비워야 채울 수 있다.


世上에 많은 자리,

저마다 한 자리 한다며 내심 젠체한다.

생각해 보라. 이 세상에 괜찮치 않은 사람이 과연 하나라도 있는가.

사람에 따라 빛깔과 力量이 다를 수 있으나

빛깔은 天性이니 다를 수록 아름다운 것이요

역량은 후천적인 것이니

있고 없음의 문제가 아니라

처해진 환경의 몫이라는 편이 옳다.


누구라도 그렇게 되어질 수 있었다고

생각해 보는 연습을 하자.

잘 된 사람 있거들랑

그의 노력을 인정하며 부지런히 닮으려 하고,

아닌 사람 있거들랑

어떻게 하면 그를 헤아려 도울 수 있을지 궁리해 보면 어떨까.


황금만능의 세상에

사람버는 소중함을 깨닫는 것만으로도 얼마다 행복할까.

사람을 번다는 것은 [中庸(중용)]의 忠恕(충서)와 같다.

자신에 充實(忠)하고

남에게 같은(如) 마음(心)으로 다가가는 것이 忠恕다.

눈높이가 같아야 남을 이해하고

꽉 쥔 주먹을 펴야 남을 헤아리고 또한 웃길 수 있다.


자신을 貴히 여기는 자만이

자신을 낮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.

낮출 것이 있어야 낮추지 않겠나.

더 낮추기 위해

우리는 더 많이 일구어야 한다.

 

'쌍방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잘 난 우리가 해 내자.  (0) 2009.04.12
피라미드는 엘리트의 작품  (0) 2009.04.10
왕십리  (0) 2009.03.06
쵸콜렛속에 담긴 사랑 그윽합니다  (0) 2009.03.06
우리 함께 해요, 따뜻한 봄날을.  (0) 2009.03.06